NFT 기초용어 정리 2
지난번 NFT 기초용어 포스팅을 하긴 했지만
다른 포스팅 쓰다보니 또 NFT접하게되면서 처음 접한 단어가 여전히 많았습니다.
하여 용어정리 2번째 포스팅을 남깁니다.
이번에는 NFT 프로젝트 사이트나, 디스코드에서 많이 등장하는 단어들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NFT란..그림이나, 영상, 음악같이 복제가능한 것에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대체 불가능한 가치를 매긴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NFT 기초용어 정리 1편 참조)
홀더
NFT를 알아가다보면 홀더란 단어를 정말 많이 접하게 됩니다.
홀더 혜택에 관련된 얘기가 특히 많은데요,
NFT프로젝트 특성상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것이 중요합니다.
NFT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을 홀더라고 칭하며 홀더들에겐 혜택을 줍니다. (ex 에어드랍, 화이트리스트권, 실물경품 등)
이는 해당 NFT를 갖고 있으면 '저런 혜택도 주는구나.. 나도 갖고싶다' 이러한 반응이 생기도록 유도합니다.
그리하여 타커뮤니티에 회자되고, 바닥가'가 오르고, NFT의 가치가 높아지게 되는데 일조합니다.
토크노믹스
암호화폐를 가리키는 토큰과 경제를 뜻하는 이코노믹스의 합성어입니다.
암호화폐가 단순한 지불수단에 그치지 않고 교환과 거래가 일어나는 경제생태계의 근간이된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NFT 프로젝트에서, '토큰을 발행하여 토크노믹스 예정입니다. 혹은 코인생태계를 이룰 예정입니다.' 라고 많이 언급됩니다.
대충 해당 프로젝트에서 자체적으로 토큰을 만들고, 토큰 활용가치를 만들어 토큰을 활성화시키겠다는 뜻이라 보면 됩니다.
코인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메인넷)을 소유한 암호화폐
(ex: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토큰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응용 서비스에서만 사용하는 암호화폐,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없음
(ex : 클레이로 교환이 가능한 클레이튼 코인 생태계의 토큰들로, 메콩코인(MKC), 인절미코인(IJM), 믹스토큰(MIX) 등이 있음)
채굴
채굴 또는 마이닝(mining)이란 암호화폐의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을 생성하고 그 대가로 암호화폐를 얻는 행위를 말한다.
(ex : 메타콩즈 NFT를 갖고있으면 하루에 4개의 MKC토큰을 채굴할 수 있음)
백서(White Paper)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기술에 대한 설명, 로드맵, 후원과 파트너십등이 설명되어 있는 자료
NFT 프로젝트에서는 별로 못봤으나, 토큰이나 다오 그리고 P2E 게임에서는 백서가 항상 있었습니다.
NFT 같은 경우는 대체로 프로젝트 사이트에 표기해놓는 듯..
로드맵
어떤 일을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목표, 기준 등을 담아 만든 종합적인 계획
NFT 프로젝트 사이트에 로드맵이 무조건 있는데, 로드맵을 통해 NFT의 미래가치를 엿볼 수 있습니다.
소각
토큰발행량이 너무 많아질 경우, 토큰가치가 낮아지는 것을 우려하여 토큰사용처를 마련해 발행된 토큰을 없애는 행위
(ex : 메타콩즈의 브리딩시스템을 통해 토큰소각처 마련 - 메타콩즈 2개, 240MKC토큰으로 새로운 NFT 인큐베이터를 얻을 수 있음)
브리딩
프로젝트 NFT 2개이상 갖고 있을 경우, 새끼치는 것처럼 새로운 프로젝트의 NFT를 나눠주는 이벤트를 브리딩이라함.
기존 NFT 프로젝트의 가치를 올리는데 일조함
복셀(Voxel)
복셀은 부피 (volume)와 픽셀 (pixel)을 조합한 혼성어입니다. 복셀은 체적 요소이며, 3차원 공간에서 정규 격자 단위의 값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AMA (Ask me anthing)
NFT 프로젝트 개발진이나 운영진들이 홀더들에게 질문받고, 답변하는 이벤트를 뜻합니다.
AMA이 있는 날에는 내용에 따라 바닥가 변동이 심합니다. (떡상 혹은 떡락)
거버넌스(GOVERNANCE)
NFT 생태계에서의 거버넌스는 해당 프로젝트의 NFT 홀더들에게 프로젝트의 특정 안건에 대해 투표하는 이벤트를 뜻합니다.
러그풀
민팅을 통한 투자금 확보 후, 지속적으로 NFT 가치향상을 위한 활동을 하지 않고 잠수타거나 프로젝트 중단하는 행위 (먹튀, ex : XX 프로젝트가 러그풀 했다.)
스캠
사기
(ex : 저 NFT 프로젝트는 로드맵이 부실한 것이 스캠같다.)
FP (Floor Price) , 바닥가
NFT가 마켓플레이스(오픈씨 등)에서 거래되고 있는 가장 낮은 금액
ATH (All Time High)
역대 가장 높은 가격
PFP (Picture for profile)
프로필 사진으로 활용하는 NFT를 뜻함
(아직 다른 활용방안이 없을때를 말하는 경우가 많음)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탈중앙화 자율조직
은행이 하는 역할을 블록체인이 대신한다고 보면 됩니다.
쓰다보니 점점 늘어나네요.. 진짜
NFT 세계에서 처음 접하는 단어들이 너무 많습니다.
'재테크 & 저축 > 암호화폐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리움 상승이유, 이더리움 2.0이란,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 차이 (0) | 2022.03.28 |
---|---|
나만의 NFT 만들어보기 (NFT 만드는방법, Krafterspace, 클레이튼) (0) | 2022.03.21 |
슈퍼지릴라!! 뮤턴트콩즈 & 지릴라 추가 생태계 공지 (0) | 2022.03.16 |
클레이튼 기반의 주요 NFT 정리 (메타콩즈/실타래/클레이시티/메타토이드래곤즈/지릴라) (0) | 2022.03.14 |
NFT 기초용어 정리 (0) | 2022.03.13 |